매출은 결국 노출에 비례한다 > 작마클칼럼


매출은 결국 노출에 비례한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4-06-20 09:02 조회13회 댓글0건

본문

1. 사업가의 가장 큰 고민 2가지는 돈과 사람 문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돈 문제다. 돈을 일단 벌어야 사업도 유지되고, 하고 싶은 일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돈을 벌려면 매출이 늘어야 하는데, 대부분 매출이 안늘어 이런저런 고민을 하게 된다. 마케팅을 하는 이유도 결국은 매출을 늘리고 싶어서다. 

 

3. 매출을 늘리는 방법을 찾으려고, 다양한 방법을 찾고, 이런 공부, 저런 공부 해 보고, 수많은 시행착오도 해 본다. 좋다는 책은 다 찾아보고, 좋다는 강의도 다 들어봤는데, 뭔가 뾰족한 방법이 없어 늘 고민이다.

 

4. 인스타그램을 키우거나, 릴스가 터지거나, 유튜브가 떡상하거나, 퍼스널 브랜딩을 잘 해서 내가 인플루언서로 뜨거나, 브랜딩을 잘 해서 인지도를 높이거나, 핫한 인플루언서에게 선택되거나, ‘생활의 달인’에 우연히 선택되어 뜨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 같고, 이중에 하나라도 얻어 걸리면 대박 날 것 같은데, 그 많은 것 중에 내게 걸리는 건 하나도 없어 참 답답하다.

 

5. 그런데, 사실 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매출 늘리는 방법은 노출 밖에 없다. 그 외에는 아무런 방법이 없다. 아무리 찾으려해도 뾰족한 방법이란 없다.

 

6. 위에서 얘기한 이 많은 방법이 결국은 모두 노출 많이 되는 방법에 불과하다. 노출이 되어야 고객이 오프라인이든 온라인 매장에 찾아오고, 매장에 오는 사람이 많아져야, 구매하는 사람이 많아지며, 구매하는 사람이 많아져야 매출이 올라가는 거다.

 

7. 그런데, 그 노출외에 뭔가 다른 좋은 방법이 있을꺼라고 생각해서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된다.

 

    - 없다!

    - 다른 방법은 없다!

 

8. 인스타그램 잘 키워 팔로워 많아지는 건, 그 팔로워들에게 돈 안들이고 노출할 수 있다는 의미고, 릴스가 터진다는 건, 알고리즘 타고 노출이 많이 되었다는 거다.

 

9. 유튜브가 떡상했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로 인해 팔로워가 늘거나, 자사몰 방문객이 늘어나면 매출이 폭발하는 거다. 브랜딩이 잘되어 인지도가 올라갔다는 것은 내 브랜드가 노출이 많이 되어 기억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방송 프로그램이나 인플루언서에게 선택되었다는 것은 그 방송의 시청자나 인플루언서의 팬들에게 노출이 된다는 거다.

 

10. 결국은 노출이 되는 방법이거나, 노출이 잘 되어서 일어나는 결과다. 그러니,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노출이 잘 되는 방법만 찾아보면 된다.

 

11. 노출방법은 딱 4가지다.

    1) 유료 노출 : 돈주고 노출하는 광고들

    2) 수수료 노출 : 오픈몰 등에 입점해서 노출하는 방법

    3) 무료 노출 : 내돈이나 시간들여 만든 콘텐츠 제공하고 알고리즘으로 노출받는 방법

    4) 기타 노출 : 맘카페 등의 작은 타겟풀에 돌아다니면서 품 팔아서 노출하는 방법

 

12. 이 4가지 방법 중, 내 사업에 맞는 방법을 찾아 노출하면 된다.

 

13. 정기적으로 노출은 하고 있지 않으면서, 고객이 늘고, 매출이 늘기를 바라고 있다면, 감나무 밑에서 감떨어지길 기다리는 것과 같다. 요행을 바라고 사업하고 있다는 의미다.

 

14. 어디에 어떻게 노출할 것인지 노출 전략을 제대로 세우는 것이 사업의 첫 출발이고, 펌프를 가동하는 일이다. 노출이 현재 안되고 있다는 건, 수로에 펌프가 멈추었다는 뜻이다. 펌프가 멈추면 수로에 물이 마르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15. 사업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제대로 알아야 돈과 시간의 헛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16. 광고가 아니라 노출이며, 알리는 것이 아니라 노출이다.

 

(written by 작마클 이상훈)

 

#내사업은내가통제한다

#작은마케팅 #창업가의습관 #작마클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62건 11 페이지
RSS
작마클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62 단골풀은 푸시(push)채널보다 풀(pull)채널이 좋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500 0
61 엔진모델 전환은 신청서, CRM, 단골풀로 시작한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305 0
60 꾸준히 한다는 것은 안빼먹고 계속 하겠다는게 아니라, 꾸준히 시도하겠다는 것이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471 0
59 조직의 끝판왕은 하나하나가 독립된 객체로 스스로 움직이는 조직이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3577 0
58 설득보다는 선택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347 0
57 돈만 버는 시스템인가, 자산을 축적하는 시스템인가?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1059 0
56 시간의 자유를 위한 생산시스템 만들기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7 729 0
55 결과가 아니라, 수습이 중요하다. 사업이란 수습 과정의 연속이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59 0
54 마케팅 엔진의 핵심인 단골풀은 테마파크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453 0
53 관계의 시대에 필요한 건, 전투력이 아니라, 공감력이다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37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