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페이지 열람 중
안녕하세요, 이재환입니다.지표관리 페이지에서, 합산하여 월간지표장부를 복제 등록하는 과정에서,칸의 내용들이 가로 스크롤에 가려서 내용을 잘 볼 수 없었습니다.(스크린샷 첨부)총 단골고객수, 경험 공헌익 등 빈칸으로 입력되는게 있어서, 해당 입력을 하는 과정이 어려웠습니다.그래서 등록 후 추가 수정을 진행하여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스크린샷으로 보내드린 화면에서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스크롤을 바 위치를 조금만 아래로 나타나게 수정되면 좋겠습니다.수정이 가능한 부분일지요?저는 맥OS로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ps. …
이재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1-06-02 16:59:41안녕하세요.저는 1인으로 온라인 판매를 하고 있는 개인사업자 입니다.'창업가의 습관'이라는 책을 읽다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저는 혼자서 진행하다보니 책에서 말씀해주신 전체를 보는 사고가 없고일에만 몰입하는 사람이 되어 있던 것 같습니다.그런데 돈버는 사업의 구조를 만든다 등등 사업을 시작하기 이전에모든 구조를 만들어서 진행한다고 하는데사업의 구조를 만든다는 말이 어떤 말인지 감이 오지 않아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책에서도 설명해주신 내용대로 시스템에 대한 부분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지만어떤 시스템을 잡아가면서 일의 효율을 어떻게…
전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4-10-22 13:57:081. 10년전 마케팅 대중 강의를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마케팅 강의는 거의 없었고, 그리 중요한 이슈가 아니었다. 그런데 10년이 지난 지금, 어디서든 마케팅을 얘기하고 있다.2. 왜 마케팅이 이렇게 대중화 되었을까? 그 원인은 온라인이다. 온라인을 벗어나서는 비즈니스를 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3. 비즈니스의 핵심은 판매인데,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방법은 퍼널 구축에서 출발한다. 오프라인 시대에는 판매 방법이 다양했다. 방문 판매를 하거나, 길거리에 좌판을 깔거나, 매장을 내면 된다.4. 하지만, 온라인에서 판매를 하…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5-07-03 08:08:511. 작마클은 작은 회사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회원의 상당수가 자영업자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자영업에 대한 관심도 늘 많다.2. 자영업이 어렵다는 이야기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실제로 대부분의 자영업자는 영세하고, 자영업으로 부자가 되기는 쉽지 않다. 그저 가족이 잘 먹고 잘 살며 오랫동안 사업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히 행복해하는 수준이다.3. 그렇다면 자영업자가 부자되기 힘든 이유는 뭘까? 자영업도 사업인데, 왜 그렇게 되기 어려운 걸까?4. 사업을 한다는 건 돈 버는 시스템을 돌리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부자가 되지…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5-05-08 14:07:50<대표가 위기를 강조하는 이유는 꼼꼼히 챙기기 귀찮아서다>1. 얼마전에 삼성이 다시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는 기사가 난 적이 있었다. 임원들 대상으로 주 6일 근무에 돌입한다는 내용이었다. 대기업의 경우 그룹 회장이 위기를 강조하고 비상경영을 선언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된다.2. 그런데 작은 회사 대표들도 가끔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켜야겠다,직원들이 너무 안일해졌으니, 긴장감을 좀 불러일으키고 싶다는 얘기를 하는 경우가 있다.3. 위기의식을 가지고 좀더 집중해서 일을 하자는 취지일꺼다. 비용도 좀더 절감하고, 매출도 좀더 신…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4-07-04 09:33:371. 오늘은 소위 콘텐츠 마케팅에 대해서 얘기해보려 한다. 신규고객 유입 방법 4가지 (유료, 수수료, 무료, 기타) 중에서 무료 노출에 해당하는 것이콘텐츠 마케팅, 즉 SNS 마케팅이다. SNS 마케팅은 사실 더 넓은 의미이지만, 일반적으로 그렇게 통용되고 있으므로 일단 넘어간다.2. 작은회사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신규고객 유입을 위해 SNS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3. 인스타그램, 유튜브로 수억의 매출을 올렸다는 글이오만군데에 널려있으니 대부분은 그게 대세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 또, 직접 들어가는 돈이 없는 것처럼 보…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4-02-15 08:36:531. 사업을 하는 이유는 돈을 많이 벌거나, 시간적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다. 물론 자신의 미션이나 비전을 이루기 위함도 있다. 작게 시작해서 소소하게 삶을 꾸리며 살아가고자 하는 분도 있지만, 그래도 사업을 어느정도 키워 여유있게 살아보고 싶은 분이 대부분이다.2. 창업을 하고, 시운전 단계를 거쳐 비즈니스 모델이 어느정도 확인되면, 필연적으로 스케일업을 해야 하는 단계가 찾아온다. 사업의 규모를 키우는 단계다. 바라는 규모가 몇억일 수도 있고, 몇십억, 몇백억으로 다양하겠지만 어쨋든 규모를 키우는 단계가 온다.3. 스케일업을…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4-02-15 08:36:081. 취업패러다임과 창업패러다임의 차이를 머슴문화와 주인문화에 빗대어 자주 설명하고 있다. 오너, 창업가, 사업가를 대상으로 핵심 마인드셋인 오너십을 강조하기 위함이다.2. 또, 직원에게 오너십을 기대하지 말아라, 직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회사가 아니라,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회사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강조한다.3. 여기까지만 들으면, 마치 직원을 부속품처럼, 머슴처럼 취급해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부분은 조직이 없는 창업 초기 단계의 오너, 대표, 창업가의 마인드셋에 해당하는 말이다.4. 하지만, 창업 초기단계를…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10-05 10:02:251. 취업패러다임과 창업패러다임의 차이를 머슴문화와 주인문화에 빗대어 자주 설명하고 있다. 오너, 창업가, 사업가를 대상으로 핵심 마인드셋인 오너십을 강조하기 위함이다.2. 또, 직원에게 오너십을 기대하지 말아라, 직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회사가 아니라,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회사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강조한다.3. 여기까지만 들으면, 마치 직원을 부속품처럼, 머슴처럼 취급해야 한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부분은 조직이 없는 창업 초기 단계의 오너, 대표, 창업가의 마인드셋에 해당하는 말이다.4. 하지만, 창업 초기단계를…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9-07 16:05:001. 얼마전 프로젝트 썸원의 윤성원님이 올리신 글 중에 인상깊은 글이 있어 찬찬히 들여다 보았다. “경영 실적은 ‘얼마나 노를 열심히 젓느냐?’보다는, ‘어떤 배에 타느냐?’에 (훨씬 더) 좌우됩니다" - 워런버핏2. 이 글을 오너십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노를 열심히 젓는 것은 '일'에 해당하고, 어떤 배에 타느냐는 '맥락, 판'에 해당한다.3. 맥락, 판은 다른 말로는 비즈니스 모델, 사업 구조다. 사업 구조가 돈을 못 버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아무리 열심히해도 회사는 망하게 되어 있다는 뜻이다.4. 우리가 사업의 구조…
이상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3-23 08:18:29